728x90
Getting Started 관련 문서를 전부 읽었다. 이제 Reference Documentation, Advanced JAX Tutorial들을 하나씩 자세히 볼 예정이다.
텐서 플로우 / 파이 토치 / JAX를 적당히 섞어가면서 코딩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.
JAX를 공부하면서 느낀 것은 JAX 자체를 공부할 때 이 원리를 정확하게 파악해야만 한다는 것이다. JIT이라는 개념을 이해하는 것도 매우 어렵고, 이를 코딩에 적용하는 것도 어렵다. 따라서 나같이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처음인 사람들은 이게 왜 되는지 항상 고민해보고 내가 생각한 게 과연 함수형 프로그래밍 향 생각인지를 고민해야 하는 것 같다.
'연구 > JA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X 공부 12 - pjit (0) | 2022.07.20 |
---|---|
JAX 공부 11 - stateful computation in JAX (0) | 2022.07.20 |
JAX 공부 10 - Parallel Evaluation in JAX (0) | 2022.07.20 |
JAX 공부 9 - Pytrees (0) | 2022.07.19 |
JAX 공부 8 - Automatic Vectorization in JAX, Automatic Differentiation in JAX (0) | 2022.07.19 |